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해외 그림 투자

재테크

by 앗녕갈매기 2023. 5. 21. 23:39

본문

반응형

사실 그림이라는 분야는 어렸을 때 그림에 소질이 있어서 대회에서 상을 몇개 받은 걸 제외하고는 생소한 분야에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그림을 잘 선택 할수만 있다면 투자로써 좋은 아이템이라 그냥 지나칠 수는 없겠더라구요. 그래서 해외그림을 알아보고 구매까지 해봤던 적이 있었어요. 물론 투자로써의 그림을 보는 안목이 없기때문에 주변에 안목이 있는 사람들에게 자문도 구하면서 고심끝에 구매를 해봤었죠. 

 

그렇게 구매한 작품은.. 바로!

 

Alex Katz - 에이다 인 스페인 (Ada In Spain)

 

작가명 / Alex Katz, 알렉스 카츠

작품명 / Ada in Spain, 2018

사이즈 / 116.8 X 81.3cm

재료 / 365그램 고급 아치벌 종이에 피그먼트 잉크

특징 / 150장 한정판, 작가 친필 서명과 에디션 넘버

 

이렇게 직접 친필 서명과 에디션 넘버를 적는 모습까지 찍어서 보여주더라구요.

 

 

구매절차

사실 구매는 해외작가다 보니 해외갤러리를 직접 컨텍하는 수 밖에 없었어요. 어설픈 영어로 해외갤러리들마다 컨텍을 해서 해당 작가의 작품이 어떤게 있느냐, 얼마에 구매할 수 있느냐, 카츠의 팬이라 해당 작품을 꼭 구매하고 싶다.. 등등 메일로 열심히 물어봤답니다. 물론 영어를 잘하시는 분들은 전화로 직접 물어보시더라구요. 확실히 전화로 물어보는게 답변도 빠르고 진행이 빠르긴 하니깐요. 그렇게 구매를 확정하면 갤러리 측에서는 작품보증서와 작품설명서를 함께 포장하여 한국으로 그림을 보내주시는거에요. 물론 그 사이에 관세도 내고 그런 절차들이 있었어요. 관세의 경우에는 예술품은 면세대상이지만 제가 구매한 그림은 150개 한정으로 만들어진 판화이기때문에 관세가 부과가 되었답니다. 

 

판매과정

제가 구매한 그림은 제 기준에서 크기가 엄청 큰 그림이였습니다. 그래서 보관을 할 때 장소의 문제도 있었고 특히 그림은 온도나 습도를 잘 관리해줘야 하기때문에 장기간 보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물론 인테리어용도나 수집용도로 구매를 하면 벽에 걸어놓고 아무 걱정을 안해도 될 것 같긴하더라구요. 

판매는 어떻게 해야할까는 생각하지 않고 구매를 했던거라 간단히 찾아보니 케이옥션이나 서울옥션에서 작품을 경매의뢰하여 판매하는 법이 있더라구요. 경매가 잘될지도 의문이였고 경매수수료에 낙찰가가 예상이 어렵기 때문에 개인이 하는 갤러리쪽을 찾아보았죠. 몇몇 갤러리와 얘기를 통해 판매가와 수수료를 정한 후 갤러리를 통해 판매하였습니다. 

 

후기

그림이라는 것 자체가 정해진 금액대가 없기때문에 수요는 꾸준히 생길 것이고 그로인해서 가격이 떨어지는 경우는 잘 없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항상 그림투자는 해보고 싶었던 분야이기도 해요. 그러다가 마침 재작년부터 작년정도까지 그림투자가 인기가 있었고 실제로도 그림의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던 시기가 있었죠. 그래서 이참에 관심만으로 끝내지 말고 한 번 시도라도 해보자 했는데, 큰 관심때문인지 해외에서 직접 그림을 구매하여 규모가 작은 개인 갤러리나 온라인으로 갤러리를 만든 사람들이 많더라구요. 또 보관 장소나 세금등등을 따져보면 장기적으로 가지고 있지 않는다면 들인 노력에 비해 수익이 그 만큼 나오지 않을 것 같기도 했구요. 중요한건 내가 보는 관점으로 그림을 구매했는데 남들이 보는 관점과는 달라서 안 팔리는 경우도 있을 것 같았어요. 이런 경우에는 그림의 특성상 고가인 경우가 많은데 자금이 묶여서 아무것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거죠. 그래서 정말 제가 소장하고 싶은 그림 한두개 정도는 나중에 구매를 하더라도 투자는 힘들 것 같아서 한 번 경험한 걸로 마쳤답니다.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그림 투자  (0) 2023.06.07
MEXC거래소 KYC(feat.체험금 이벤트)  (1) 2023.05.29
현용주화세트  (0) 2023.05.16
비트겟 거래소 KYC 막힐 때  (1) 2023.05.14
주식투자 근황(feat.ADR지표)  (0) 2023.05.13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